어제 저녁 시험을 친 Terraform Associate(003)자격증 시험에 합격하게 되었습니다.
최신 버전인 003에 대한 기록이 얼마 없어 이에 기록합니다.
1.시험동기
DevOps나 SRE군의 Job Description을 보면 거의 빼놓지 않고 나오는 단어/기술들이 있다.
Terraform...
IaC(Infrastrcture as Code)...
Ansible...
Kubernetes...
나는 Terraform을 다뤄본적이 전혀 없었다. 그러다보니 Clould계열인 DevOps 및 SRE엔지니어로 커리어 전환에 있어 Terraform, IaC가 너무나도 큰 장벽처럼 느껴졌었다.
회사가 나한테 Terraform을 사용할 기회를 주지 않았다는 변명을 하기는 싫었고, 손대보지도 않아서 모르는 기술때문에 많은 기회들을 놓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회사가 Terraform에 손을 대볼 기회를 주지 않는다면 내가 스스로 알아서 다가가는수 밖에...^_^
이에 남들이 다 하는(?) Terraform을 직접 다뤄보고 거기서 얻은 지식을 자격증이라는 결과로 남겨두고 싶었다.
자격증 취득에 의한 자신감 UP도 얻고 싶었다.
2.공부방법
아예 하나도 모르는 기술에 대해서 공부할때, 내경우에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해서 공부하는 편이다.
그편이 복습도 되고, 한방법에서는 이해가 안되던 부분이 다른 방법에서 이해가 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나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을 이용했다.
- 유데미강의
- 책 "테라폼으로 시작하는 IaC"
- KodeKloud의 Terraform Challenge
- 유데미 모의고사
1.유데미 강의
https://www.udemy.com/course/terraform-for-the-absolute-beginners/
유데미의 CKA로 유명한 뭄샤드형의 KodeKloud기관에서 제작한 Terraform강의이다.
다른 여타의 강의들과 마찬가지로 KodeKloud에서 쓸수 있는 무료쿠폰을 발행해주는데, 이를 통해 hands-on lab에 접속, 직접 타이핑해가며 Terraform을 경험해볼수있다.
개인적으로는 초반에는 매우 좋았으나 그이후에는 조금 지루해지는 감이 없지않아있었다.
이유로 들자면 일단 영어의 압박으로 몇몇 개념들이 명확하게 정립되지 않은채로 진행을 한것, 그리고 알기쉽게 정리된 그림/도면의 부재가 이유가 아닐까 싶다.
따라서 나는 이 강의는 75%정도 수강한뒤, 한국어로 된 책을 찾아 다시 공부함으로서 개념을 확실히 다질수 있었다.
Terraform에 대한 기초적인 개념및 실행환경을 얻을수 있다는 점에서 추천한다.
2.책 "테라폼으로 시작하는 IaC"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19179333
테라폼으로 시작하는 IaC - 예스24
“현업에서 요구하는 진짜 IaC 사용법”테라폼으로 배우는 인프라 운영의 모든 것IaC는 효율적인 데브옵스와 클라우드 자동화 구축을 위해 꼭 필요한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그중에서도 테라폼
www.yes24.com
유데미를 보면서 코딩은 어느정도 할줄 아는데, 개념이 애매한 부분이 몇몇있었다. 특히 module에 관한 부분이라든지..
부족한 부분은 이책을 보면서 보충할수있었는데, 매우 만족한다. 특히 이 책에서 제공하는 실습은 개념정리하는데 매우 도움이 되므로 왠만하면 다 따라서 쳐보자.
책은 2파트로 나뉜다.
Part.1 ➡ 처음 만나는 테라폼
Part.2 ➡ 구축부터 운영까지, 테라폼 워크플로
나는 파트 1까지만 읽고 실습하고, 파트 2는 읽지 않았다.
이유는 파트 2는 테라폼 클라우드등 원격서버와 관련된 실습이 많았기때문에, 환경구축등등에 시간을 많이 필요로 할것같아서였다.
실제 시험에서는 파트2에 관한 내용도 많이 나왔는데, 나처럼 실습할 시간이 많이 없다고 건너뛰지 말고 읽기만이라도 하길 권한다.
3.KodeKloud의 Terraform Challenge
https://kodekloud.com/courses/terraform-challenges/
Terraform Challenges | KodeKloud
kodekloud.com
기초적인 코딩도 알았겠다 개념도 알았겠다 싶으면 KodeKloud의 Terraform Challenge에 도전하면 딱 좋다.
KodeKloud의 회원이라면 무료로 접속가능하다.
여기서는 전체적인 아키텍처를 도면으로 보여주고, 그 도면에 맞게 실제로 인프라를 구성해내야 통과가 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테라폼을 활용해 AWS 인스턴스와 Elastic IP를 구성하고, 이들을 연결하라.
- 테라폼을 활용해 Docker Image, Docker container, Docker network등을 구성하고 Volume과 container를 연결하라.
지극히 실전주의적이며, 하나씩 해결해나갈때마다 아키텍처가 녹색으로 빛나며 채워지는 만족감을 느낄수 있다.
마지막으로 모든 과제를 달성할경우, certificate가 나오므로 링크드인에 자신의 업적을 꼭 걸어두자.
4.유데미 모의고사
https://www.udemy.com/course/terraform-associate-practice-exam/
최근시험의 경향을 담고 있는 모의고사 300제.
시험시간과 방식이 실제 시험과 매우 비슷하며, 시험이후에는 문제풀이가 제공되므로 부족한 개념을 채우는데 부족함이 없다.
나는 여기있는 시험을 다풀고 검토한뒤 시험을 쳤는데, 합격할수 있었다.
3.시험
https://www.hashicorp.com/certification/terraform-associate
HashiCorp Cloud Engineer Certification - Terraform Associate 003
Cloud engineers will be able to use either version of the Terraform Associate certification to verify their basic infrastructure automation skills.
www.hashicorp.com
시험에 관해서 자세한 정보는 위의 링크를 확인.
시험등록은 HashiCorp사의 웹페이지를 이용해 할수 있으며, 이떄 Github의 ID를 이용해 로그인해야함을 기억하자.
실제 시험은 CKA, LFCS때와 같이 PSI브라우저를 이용해 시험을 치르게 된다.
따라서 시험에 있어서 필요한 물품도 같다:
- 시험용 컴퓨터
- 여권등 본인증명가능한 ID. 나는 여권으로 보았다.
- 웹캠. 감독관에게 시험보기전에 책상밑, 책상위, 방전체를 보여줘야 한다.
불허하는 물품으로는
- 추가 모니터 (듀얼모니터 불가)
- 손목시계
- 이어폰
선택사항인 물품은
- 물한잔. 투명한 컵이나 병에 담긴 물은 책상위에 둬도 된다.
시험시간은 1시간이며, 총 57문제가 출제된다.
시험문제 타입은:
- 객관식 문제. 답을 하나만 고르거나 복수를 고르는 문제가 나온다.
- 문제를 읽고 그내용에 관해 True/False를 고르는 문제.
- 주관식 문제. Terraform 커맨드 혹은 attribute를 맞추는 문제.
시험비용은 미화로 77.5달러(세금포함)이며, 이에 관한 할인쿠폰은 찾을수 없었다.(찾는 법 아시는분은 공유부탁드려요.)
CKA, LFCS시험과는 다르게 무료 재시험이 없는 한방 승부이다.
합격 점수는 70%이상 정답을 맞춰야한다.
4.시험후기
이번 시험은 테라폼에 관해 최소한의 이론적/실전적 이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데이 있다는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시험의 상당부분이 테라폼의 기본 개념에 관련된 내용이다.
하지만 개념만 달달 외워가서는 곤란하다. 실제 시험에서는 코드블록이 자주 등장하며, 테라폼을 직접 실행해본적이 없을경우 알아볼수없는 메시지들이 꽤 있다:
- 예1: 다음과 같은 에러 메시지가 출력되었을떄, 예상할수 있는 문제는?
- 예2: 다음 코드블록을 보고 어떤 리소스가 제일먼저 생성될것이라 생각하는가?
나의 경우에는 유데미, 책에서 본 실습들을 거의 전부 다 실행해봐서 어떤 형식으로 테라폼이 동작하는지 알수 있었기에 큰 문제가 없었다. 유데미 모의고사에서 나오는 문제들을 보고 합격점수가 나온다면 무난히 합격할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내경우에는 시험을 모두 마치고 나니 20분정도 시간이 남았었다.
그리고 시험결과는 시험이 마치면 바로 PSI브라우제에서 출력된다.
이후 이메일로도 시험 결과 내용이 오고, Credly관련 뱃지 링크는 48시간내로 이메일로 전송된다.
나는 77%정답률로 합격했는데, 합격점수가 70%이상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간당간당하게 합격했다.
5.자격증 취득 이점
객관적으로는 어떨지 몰라도 개인적으로는
- Terraform을 이용해 리소스(인프라)를 구축해보는 경험이 매우 재미있었고, 이에 따라 Terraform에 관한 필요이상의 공포감을 갖지 않게 되었다. 자신감도 UP!
- Docker, Kubernetes, AWS등의 리소스들을 Terraform으로 구성하려고 하는 이유를 매우 잘 알게되었으며, 이에따라 클라우드 인프라 기술들에 대한 이해도가 깊어졌고 공부할 의욕이 더 생기게 되었다.
따라서 이시험을 통과하게 되면 Terraform의 달인이라고 보기는 힘들지만 적어도 IaC의 기초를 알고는 있습니다...혹은 흥미를 매우 가지고 있습니다라고 보여질수 있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6.그외의 팁
Terraform은 Infra계열의 리소스를 생성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Ansible은 생성된 리소스의 설정을 관리하는데 주로 목적이 있다.
따라서 Terraform에 대해서 어느정도 알게 되었다면 Ansible에 대한 공부도 하는것을 추천한다.
이 둘의 차이는 다음의 링크에 잘 설명되어 있다.
https://k21academy.com/ansible/terraform-vs-ansible/
Terraform vs Ansible: Key Differences Between DevOps tools
How do Terraform and Ansible exactly differ? Terraform is open-source, Infrastructure as Code platform;Ansible is open-source configuration management tool.
k21academy.com
'Certifica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LFCS 자격증 취득 및 공부방법(Linux Foundation Certified Administrator) (11) | 2023.08.28 |
---|
댓글